
조용히 꺼내보는 보안 노트
최신콘텐츠
- (7) 개인정보 마스킹이란? 왜 중요한가?작성자: 살금살금“LLM 시대, 단순 가림을 넘어 ‘문맥 기반 대응’이 필요할 때” “민감정보를 가리면 끝”일까요? 생성형 AI의 도입이 확대되면서 개인정보 보호의 방식도 함께 진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특히 챗봇이나 LLM을 도입한 기업들은“개인정보를 가명 처리하거나 마스킹하면 된다”는 인식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과거처럼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만 걸러내면 되는 시대는 이미 지났습니다…. 자세히 보기: (7) 개인정보 마스킹이란? 왜 중요한가?
- (6) AI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필요한 조치 5가지작성자: 살금살금“기술 이전에, 설계가 먼저입니다.” 왜 ‘조치’가 아니라 ‘설계’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많은 기업이 “AI 보안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해,암호화 기술, 탐지 도구, 인증 방식 같은 기술 리스트부터 생각합니다.그러나 실제 사고는 ‘무엇을 어떻게 설계했는가’의 부재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 기준에서 꼭 필요한 5가지 조치 항목을 선정해,어떤 흐름으로 우선 적용하고… 자세히 보기: (6) AI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필요한 조치 5가지
- (5) 챗봇이 유출하는 민감정보 종류작성자: 살금살금“단어가 아닌 ‘문맥’이 유출을 만든다” ⚠️ 이 글에서 다루는 ‘문맥상 민감정보’는 주민등록번호나 전화번호처럼 형식이 고정된 정보가 아니라, 대화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 등교 시간은 8시예요” 같은 문장은 단독으로는 개인정보가 아닐 수 있지만,위치, 가족 구성, 생활 패턴 등과 조합될 경우 민감정보로 간주되어 보안… 자세히 보기: (5) 챗봇이 유출하는 민감정보 종류
시리즈
